개발/ubuntu,linux,wsl(5)
-
Zone.Identifier 한번에 지우기
find . -type f -name '*Zone.Identifier*' -exec rm -f {} \;
2025.04.17 -
wsl 리눅스 용량 줄이기
사용하다보면 계속 용량이 늘어나는 이슈가 발생 cmd 에서 wsl --shutdowndiskpartselect vdisk file="경로/ext4.vhdx"attach vdisk readonlycompact vdiskdetach vdiskexit diskpart 까지는 cmd 에서 attach 할때 이미 사용중이라는 오류가 뜨면wsl --shutdown 다시 cmd에서 진행하고 진행 결과 180gb > 80 gb 100 기가 확보!
2024.11.01 -
ssh_config, sshd_config 차이
ssh_config - client 외부에서 내 서버에 접속을 하는것은 sshd_config 의 설정에 영향sshd_config -daemon 내부 서버에서 외부 서버로의 접속 설정의 영향을 받는것은 ssh_config
2024.06.28 -
wsl 네트워크리소스를 사용할 권한이 없는 것 같습니다
발단 wsl 안 리눅스에 용량이 갑자기 가득가득 차셔 아예 들어가 지지도 접근도 안될때 해결법 https://hbase.tistory.com/291 [Windows] WSL 실행이 갑자기 안될 때시스템 재부팅을 하고나서 갑자기 WSL 실행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했다. 이 화면에서 멈춰있고, 진행이 안되고 있었다. 구글링을 해보니 시스템 설정을 바꿔주면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. 해hbase.tistory.com 원인은 램 크기 부족
2024.06.18 -
[코드 4294967295 (0xffffffff)로 프로세스 종료됨]
Ubuntu crashes on windows: 0x80040326 Wsl errorWSL [코드 4294967295로 프로세스 종료됨] 에러 발생시https://devsub.tistory.com/m/10 WSL2 [코드 4294967295로 프로세스 종료됨] 오류 해결 BIOS 가상화 해결평소에 개발환경을 WSL2로 세팅해놓고 개발을 하곤 했는데, 어느날 갑자기 가상 머신 플랫폼 Windows 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BIOS에서 가상화를 사용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. 자세devsub.tistory.com https://meganad.github.io/2022-03-25-WSL-code-4294967295-error/ WSL [코드 4294967295로 프로세스 종료됨] 에러 발생시pro..
2023.03.30